Linux11 리눅스 계정 패스워드 만료시 계정 잠김 문제 2023년 4월 14일 작성chage -E -1 -I 0 -m 0 -M 90 {계정명}-E (지정한 계정의 만기일 설정) : -1 이면 따로 설정하지 않음 만료 값 지정하지 않거나 만료일 해제할 때 씀.-I (패스워드 만료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기까지의 유예기간을 지정하는 옵션) : -I 날짜수 / -1로 설정하면 비활성화 되지 않음. 유예기간 사용 안함. 0으로 설정하면 바아로 락걸림-m (패스워드 최소 의무 사용일 수를 지정하는 옵션, 최소 며칠이 경과해야 다른 패스워드로 변경할 수 있는지 설정) : 0이면 패스워드 사용해야 하는 최소 조건 없음-E 옵션으로 지정한 계정 만료일은 비밀번호 만료와는 관계가 없다.공공 개인 계정 생성시 -I 옵션의 날짜가 0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바로 비활성화 되.. 2025. 3. 15. [리눅스] GID 변경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23년 4월 14일 작성 리눅스 개인 계정을 생성해야 하는 일이 있었다. 여러 인원들의 개인 계정을 생성해야 했고, 개인들은 부여받은 권한만 사용할 수 있어야 했다. 특정 권한의 계정 유저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제공하기로 하였다. 예를 들면, 개발자(deployment) 권한을 부여받아야 하는 개인 계정들은 deployment_users 로 그룹핑을 하여 /etc/sudoers에 아래와 같이 설정하여 sudo su - deployment로 공용 계정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deployment_users ALL=(ALL:ALL) NOPASSWD: /bin/su - deployment deployment_users의 gid를 기존에 10000으로 설정하여 서버들에 생성하였다. 하지만, 이.. 2025. 3. 5. 리눅스 Run level 이란? 리눅스 시스템의 관리의 용이함을 위해 서비스의 실행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적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리눅스의 run level은 0~6까지 있습니다. 주로 사용하는 run level은 0,3,5,6 이고 run level의 변경은 root 사용자만 가능합니다. # 0 - halt (DO NOT set initdefault to this) 시스템의 종료를 의미하고 run level을 0으로 바꾼다는 것은 시스템을 종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1 - Single User mode 시스템 복원 모드라고도 불리고, 기본적으로 관리자 권한 쉘을 얻게 됩니다. 주로 파일시스템을 점검하거나 관리자 암호를 변경할 때 사용합니다. # 2 - Multi User Mode NFS(Network File System)를 지원하.. 2023. 1. 7. Repository 관련 정리 Repository란? 설치하고자 하는 프로그램 / 패키지가 저장된 서버이다. Repository 서버를 구축해서 사용하는 이유는 사내 망에 있는 컴퓨터들이 외부와 통신할 수 없기 때문에 사내 레포 서버를 구축하여 패키지 파일들을 미리 다운받아 놓음으로써 사내 망에 있는 서버들이 패키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repository 서버를 구성할 수도 있지만 여건이 되지 않으면 아래처럼 사용 가능합니다. 1. 1개~2개 파일 정도만 올려놓고 사용하겠다고 한다면 nginx 서버를 구축하여 nginx root directory에 파일을 올려놓고 다운받아 사용하면 됩니다. 저의 경우에는 /var/www/html/repo 디렉토리를 만들어 다운받으려는 파일을 넣어두었습니다. nginx는 웹서버 역할을 합니다... 2022. 10. 21. 이전 1 2 3 다음